Page 91 - taquet_symposium
P. 91
이 힘겹게 쌓아올린 축적된 지식의 결과로 전쟁과 환경의 파괴를 통해 스스로의 생명을 잃
어가고 있는 현대인에게 유다-그리스도교 전통사상의 사유는, 먼저 알려하기 전에 왜 알려
고 하는 지를 물어야 하며, 참된 지혜만이 인간을 올바른 길로 이끄는 수단이 됨을 깨닫게
하여, 많이 알려하기 전에 먼저 진정으로 지혜로운 이가 되라고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유
다-그리스도교의 전통사상은 인간의 지적 탐구 활동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축적된 지
식의 무분별한 남용과 오용을 방지하여 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을 막도록 할 것이다. 128)
5) ‘주님의 기도(Oratio Domini)’에 담긴 그리스도교 생태영성
구약의 창조설화와 창조설화를 포함한 율법 그리고 역사서와 성문서 시서와 지혜서를 통
해 구약성경이 지닌 생태영성의 가치를 살펴 본 것과 같이 4복음서와 사도행전 그리고 서
간과 요한 묵시록 전체를 조망하며 신약성경이 지닌 생태영성의 가치를 살펴보는 것이 필
요할 것이다. 그런데 구약성경의 약속과 기다림은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고, 특별히 복
음은 구원의 성취를 알리는 기쁜 소식이다. 그런데 복음의 기쁜 소식을 마태오 복음서는
산상설교에서 요약하고 있으며, 산상설교의 중심에 주님의 기도가 자리 잡고 있다. 129)
‘주님의 기도’는 그리스도께서 직접 전해 주신 기도로 가장 오래된 기도이자 테르툴리아
누스(Quintus Septimius Florens Tertullianus, 155년 경 - 240년 경)는 ‘주님의 기도가 복음
전체의 요약’이라고 했다. 130) 성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25 – 1274)는 성
경의 핵심인 주님의 기도를 “가장 완전한 기도”라 했다. 131) 성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 354 – 430)는 성경의 모든 기도는 주님의 기도에 수렴되고 주님의 기도에서
모든 기도가 연유한다고 하였다. 132) 따라서 신약성경의 생태적 가치를 살펴보는 대상으로
‘주님의 기도’를 채택하고자 한다. ‘주님의 기도’가 지닌 생태적 가치는 곧 복음서가 지닌 생
태적 의미로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주님의 기도는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전승에 따라 교회의 전례 안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교회의 가장 뛰어난 기도이다. 초기 교회 공동체들은 주님의 기도를 ‘하루에 세 번’
바치며 주님의 기도를 교회 자신의 기도로 받아들이고 생활화했다. 133) 또한 현재에도 주님
의 기도는 성무일도의 아침기도와 저녁기도 그리고 그리스도교 입문 성사인 세례성사와 견
진성사 그리고 성체성사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분이다. 134)
이렇듯 ‘주님의 기도’는 그리스도인의 모든 기도 생활의 중심에 있기에 곧 ‘주님의 기도’
가 그리스도인의 실천적 영성생활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고 할 수 있고, 따라서 ‘주님의
128) 위의 글, p. 99, 참조.
129)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가톨릭교회교리서」(개정판), 2014, 2763항. 이후 인용은 약어 ‘CCE’를 사
용하고 항의 번호를 명시한다.
130) CCE, 2761, 참조.
131) CCE, 2774, 참조.
132) CCE, 2762, 참조.
133) CCE. 2767, 참조.
134) CCE. 2776, 참조.
- 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