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taquet_symposium
P. 19

심으로  이루어졌다.  1914년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해  젊은  선교사들이  전쟁에  소집되면서  에

                  밀  타케  신부는  제주도  하논-홍로  본당을  떠나  목포  산정동  성당-나주  계량  본당(현  노안
                  본당의  전신)-남서해안  모든  섬들의  공소를  겸임해  선교  사목을  묵묵히  수행했다.  제1차  세
                  계대전의  발발로  말미암아  프랑스  선교사  대부분이  징집되는  바람에  제주  성당과  홍로  성
                  당은  성직자  없는  공소의  시기가  6년  동안  지속되었다.  게다가  가난한  제주도  청년들은  일

                  자리를  찾아  오사카로  떠났으며  일제의  탄압으로  신성여학교가  휴교되는  등  제주도  천주교
                  는  침체되지  않을  수가  없었다.

                    1922년  파리외방전교회가  전남과  제주에서  철수하자마자  그해  8월  25일부터  대구교구
                  소속이었던  에밀  타케  신부는  거의  20년  동안  선교한  제주와  목포를  떠나  1914년  설립한
                  대구교구  성유스티노신학교에  교수신부로  부임하여  한국인  신부  양성의  길에  들어서게  되

                  었다.  타케  신부는  1928년  10월  23일  성유스티노신학교  3대  교장으로  선임되었고,  1933
                  년  10월  30일  회갑잔치를  하였으며,  1952년  1월  27일  성유스티노신학교에서  선종하였다.


                    무엇보다  타케  신부는  18년  동안  대신학교  교수신부로  있으면서  12년은  대신학교  학장
                  으로  일하였다.  1964년  12월  15일  대구교구청에  화재가  발생해  에밀  타케  신부의  유물과

                  많은  표본과  관련  문헌들이  다  소실되었으니  참으로  안타까울  뿐이다.  타케  신부의  귀중한
                  표본은  우리나라에는  단  한  점도  남아  있지  않다고  한다.  1940년  7월  타케  신부는  신학교
                  학장직이  자신에게  너무  과중하다  여기고  사임을  했다.


                    에밀  타케  신부는  24세에  한국에  선교사로  파견되어  1945년  일제강점기로부터  해방될

                  때까지  일본에  의해서  직간접으로  탄압을  받지  않을  수  없었던  한국  가톨릭교회의  친일  행
                  태를  어떻게  느꼈을까?  뮈텔  주교나  1933년  드망주  주교가  교회와  교회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  ‘신사  참배’  허용을  대안으로  선택한  것을  에밀  타케  신부는  인정했을까?  그에게  닥
                  친  고통은  신사  참배로  끝나지  않았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포항  오천  예수
                  성심시녀회로  피난을  갈  수밖에  없었다.  타케는  한  달  동안  낙동강  전선에서  벌어진  무서

                  운  전투를  목격하였고  인천상륙작전  이후  10월  1일에야  다시  신학교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때  타케  신부는  침구류는  물론  속옷까지  모두  빼앗긴  상태로  오직  남은  것은  하느님밖에
                  없었다.

                    타케  신부는  조선  남서해안의  모든  섬들을  전담했다.   그의  직무수행은  매우  힘들었다.
                                                                      14)
                  거의  모두가  허술한  배를  타고  여행해야  하는  위험의  연속이었다.  다른  곳에서는  잘  통용
                  되는  방식이  이곳에는  잘  먹혀  들어가지가  않았다.  그러나  이런  평범한  방식이  매우  피곤

                  14)  “중기선을  타고  14시간  걸려  도착한  제주도는  10년  동안이나  라크루  신부와  타께  신부에게  굳건한
                     덕성과  인내심을  갖게  합니다.  그들은  대학살이  있었던  1901년부터  주의  은총이  재난으로  입은  상처
                     를  아물게  해줄  날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  교난  이후  몇몇  여인들과  어린이들만이  그곳에  남았지
                     만  현재는  교리도  잘  배우고  수계도  잘하는  교우  수가  400명이나  됩니다.  두  신부는  매우  진지해  보
                     이는  1,500명의  예비자들을  등록시키게  되어  기뻤습니다.”




                                                         -  1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