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taquet_symposium
P. 16

밀하고  다정한  모습으로  동네를  오갔을  것이  눈앞에  그려지는  것  같다.                   9)



                    1904년  타케  신부는  성인  35명을  영세시키는  기쁨을  누렸고  미사를  드릴만한  공소도  몇
                  곳에  마련할  수  있다는  희망에  부풀었다.  1909년  제주도는  두  개의  본당과  349명의  신자
                  수를  헤아리게  되었다.  굉장히  느리지만  발전적이었다.  그리고  타케  신부는  산속에  또  하나

                  의  공소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포리  신부가  타이베이에서  1915년  7월  4일  갑자기  병으로
                  별세하자,  타케  신부  또한  선교의  도구로  활용했던  식물  채집을  내려놓지  않았나  하는  생
                  각이  든다.  홍로  성당은  1915년  6월  7일  에밀  타케  신부가  목포  산정동성당으로  전임되면
                  서  서서히  내리막길을  걷게  되었다.


                    1922년부터  제주와  전남에서  파리외방전교회가  철수하게  되자  에밀  타케  신부는  대구신

                  학교에  교수신부로  부임하게  된다.  그리고  1937년  8월  15일  서귀포본당이  하논과  홍로를
                  거쳐  현재의  서귀포성당으로  이전하면서  하논과  홍로성당은  역사의  한편으로  물러나게  되
                  었다.  에밀  타케  식물원  격이었던  홍로본당  시절의  사제관과  소성당은  애석하게도  1967년
                  1월에  철거되었다.  서귀포의  옛  홍로성당  터에는  지금  면형의  집이  자리하고  있다.  홍로성
                  당은  타케  신부가  1915년  목포성당으로  전임된  뒤  공소로  바뀌었다가  이후  한국순교복자

                  수도회에서  관리했다.        10)


                    1908년,  드디어  타케  신부는  포리  신부의  코칭  없이  혼자의  힘으로  해발  600미터  지점
                  에서  왕벚나무를  발견해,  1912년  독일  베를린대학  쾨네(1849~1918)  교수에게  표본(채집번
                  호  4638번)을  보낸다.  발견  장소는  한라산  북측  관음사  뒤쪽이라는  것이  일반적  정설이다.

                  또한  100년  동안  참혹한  박해  속에  옹기를  팔아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선조  교우들의
                  가난을  체험한  타케는  성당을  짓고  영세만  주는  것에  부족함을  느꼈기에  식물  표본을  만들
                  어서라도  선교  자금을  만들었다고  본다.  그  당시  가난한  사람들이  산으로  올라가  도토리라
                  도  주워  먹을  수밖에  없었던  현실에서  타케는  귤을  통해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그리
                  고  공동체적  가치를  융합하기  위해  포리  신부에게서  귤  묘목을  받았던  것이다.  타케  신부

                  는  그  지역의  문화나  습성,  그리고  생태와  자원을  잘  파악하고  있었다고  본다.  그에  비해
                  김원영  신부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존중하지  않는  과격하고  폐쇄적인  방식으로  선교를
                  하여서  결국  신축교안이  발생했던  것이다.             11)

                  9)  그리고  서한의  내용을  살펴보면  라크루  신부는  1909년  10월  18일  오늘날의  초등학교  격인  신성여학
                     교를  세우는데,  이미  1년  전부터  여러  대안들을  모색하는  가운데  학교를  세우려고  기획하고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마산포에  주임신부로  소임  받은  무세  신부가  1910년  9월  초등교육기관인  ‘성지학교’를
                     세웠던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보인다.  신성여학교는  라크루  신부가  전임되고  난  뒤  1916년에  일제의
                     탄압과  재정난  등이  겹쳐  폐교되었다가  1946년  스위니(1895~1966)  신부에  의해  ‘신성여자중고등학
                     교’로  복교되었다.
                  10)  앞의  책,  p  49-74  참조.
                  11)  에밀  타케  신부는  제주  식물학의  효시일  뿐만  아니라  식물분류학에서도  큰  업적을  남겼다.  한국  식
                     물  연구사에  있어서  타케  신부와  포리  신부의  식물  채집  기록은  1890년대  코마로프(1869~1945,  구소
                     련의  식물학자로  그의  이름을  딴  코마로프  식물  연구소가  2015년  12월,  1886년~1902년  사이  전  구
                     한말  시대의  한국  관속식물  표본  100여  점을  기증)와  1909년  나카이(1882~1952,  일본  식물학자로  한
                     국의  식물  조사와  식물  자원  수탈에  행적이  많은  인물)가  『Flora  of  Korea』를  발표하기까지의  빈  시



                                                          -  8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