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2 - taquet_symposium
P. 82

에  대해  비판적이면서도  적어도  ‘땅을  지배하라(창세  1,28)’는  성경의  명령을  충실히  수행하

                                                            89)
                  여,  기술적인  방법을  발전시켰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고대의  다신론,  범신론적  자연  이해
                  와  비교하여  유일신  종교  그  자체가  환경  위기의  원인이며,  유일신적  세계관과  종교관을

                  대신할  수  있는  범신론적  종교에서  생태계  위기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90)
                    9세기에  신성로마  제국이  추구하였던  문예  부흥의  연장선상에서,  11세기에서  13세기에
                  이르는  이슬람과의  교류를  통해  고대  희랍의  철학과  이슬람에서  고도로  발전한  자연  과학

                  의  성과들이  유럽에  들어오면서  14세기  이탈리아에서  문예  부흥  운동이  발원하여  15세기
                  중엽까지  유럽의  여러  나라로  확산되어  16세기에  이르러  절정에  달하였다.  특히  이  당시의

                  문예  부흥은  세속에  대한  종교적인  활동보다는  세속에  대한  희랍  정신의  특성이  강조된  ‘세
                  속주의의  부활’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91)
                    세속주의의  부활과  동시에  세계의  보물을  찾으려는  부수적인  충동으로  인하여,  헬레니즘
                  의  특징이었던  탐구  정신이  재등장하였다.  육로와  수로를  통한  지리적인  탐험이  성행하였

                  고,  물질계(物質界)에  대한  탐험은  자연  과학의  부흥을  가져왔으며  현대의  과학적  발명의
                  터전을  마련해주었다.  과학자들은  성경의  권위에  반론을  제기하며,  보다  정확한  자연  법칙

                  의  공식화에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실용적  발명을  가능하게  하고  순수  과학의  기틀을  공
                  고히  하는  사유와  연구의  길을  닦았다.  이와  같은  연구와  발명에  바쳐진  개인의  탐구  정신
                  이  현대  세계를  열었으며,  헤브라이즘이  경외의  대상으로  섬겼던  ‘야훼  하느님’과  적어도  고
                  대  희랍  철학자들이  영원한  진리로  여겼던  ‘궁극적인  것’(神)에  대한  경외감으로부터  유럽인

                  은  서서히  벗어나게  되었다.  그러면서  지극히  현실적  문제인  고통스러운  노동으로부터  인간
                  을  해방시켜  줄  여러  종류의  기계  발명들이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기술의  발전으로

                  격변하는  세상  속에서  국가의  안녕과  번영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정치적  상황은  필연
                  적으로  민족  국가  간의  전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런  전쟁  상황  속에서  절대화된  국가가
                  세계를  정복하고  부를  획득하기  위한  재화를  양산할  수  있는  산업화를  가져왔기  때문에  생
                  태계  파괴가  용인되고  가속화된  것이다.            92)

                    자연  과학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던  시대의  사람들은  이미  성경이  ‘무엇을  명령하고  있
                  는지’에  관심이  없었으며,  더  나아가  성경과  교회의  가르침  자체에  그다지  큰  관심을  두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자연  과학  기술의  발전이  자연에  대한  성경의  지배  명령을  기술적으
                  로  수행하기  위한  방편이었다는  주장은  그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그리스도교  신앙  자체를
                  거부하는  이들이  구약  성경  창세기의  한  구절을  지배명령으로  인식하고  따랐다는  주장은



                  89)  프란치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은  인간이  땅의  지배를  통해서  하느님의  모상성을  획
                     득할  수  있다는  사고에  대해  그리스도교가  신학적  이의를  제기  하지  않았기  때문에,  최소한  근세  초
                     기  이래로  자연을  희생하여  인간  생명을  절대화시키는  작업에  신학과  교회와  신심이  결정적으로  협력
                     하였다고  주장한다.
                  90)  앞의  글,  p.  40,  참조.
                  91)  위의  글,  p.  41,  참조.
                  92)  위의  글,  p.  42-43,  참조.



                                                         -  74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