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taquet_symposium
P. 31

그  결과  새로이  이전한  홍로성당에는  예비신자들이  서서히  입교하게  되었고,  여기저기서

                                                  63)
                  개종의  움직임이  일기  시작하였다.   1903년  홍로에서만  34명의  새로운  교민을  확보하게
                  되었고,  특히  제주도  동남부  지역의  교세도  확대시켜  갔다.  이  과정에서  떼미공소가  신설되
                  었다.  1904년  2월  29일  떼미공소를  방문하여  6명의  교민에  대한  영세를  준  사실이  세례대
                  장을  통하여  확인된다.  동남부  지역의  교세  확장  과정에서  예비신자  120명을  확보하였다는

                  것은  괄목할  만한  일이었다.  또한  교안의  피해를  크게  입었던  대정군  지역에서도  예비신자
                  30명을  확보하여  교세  회복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대정군  지역의  선교는  상당히  어려운  실
                  정이었다.    64)
                                                                      65)
                    1904년  이후  홍로본당의  교세  확장은  두드러졌다.   1904년의  영세자는  43명이고,
                  1905년의  영세자는  67명이었음이  세례대장에서  확인된다.  1910년  초  당시  신자  총수는
                  195명에  달하여  교안  직전의  교세를  상회하게  되었다.  1910년  부활절  당시  세례대장에  기

                  재된  영세자  300명에  대한  현황을  통하여  당시  교세를  가늠하여  볼  수  있다.


                      <  1910년  당시  교세  현황표  >

                                               신자  현황  세례대장         유고  신자
                                                                                               잔여신자
                     관할  신부별  영세자         기재  신자     사망       이사      냉담       살해       행불
                       김원영  신부  영세자        123명        13      15       16       48        9     22명

                        무세  신부  영세자         10명         1       3        1                        5명
                        타케  신부  영세자        167명        18      25       23                      101명
                              계            300명        32      43       40       48        9    128명

                     (출전  -  교세통계표 타케  신부(1909∼1910).    *  냉담  :  정기적인  교회  성사를  치르지  않는  신자,    *  살해  :
                        교안  때  피살된  신자,    *  행불  :  교안  때  남편이  죽고  비신자와  결혼한  부인과  그  자식들,    *  신자  총수
                                                                               195명에는  이사  온  신자  포함  )


                    당시  교회의  복구와  교세의  확장을  위하여  두  신부는  우선적으로  교회가  순수한  신앙공
                  동체로  정착하는  데  전력을  기울였다.  신부들은  제주교안의  원인을  제공했던  藉托  교민들의
                  교회  출입을  특히  경계하였고,  교민들  가운데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는  자들은  직접  징벌을
                                                                   66)
                  가함으로써  교회를  정화시키는  데  적극  노력하였다.   또한  안정된  선교를  위하여  본당의
                  정착과  건물의  신축・확장,  공소의  증설에  주력하였다.  이와  더불어  교회는  전교의  한  방법

                  으로서  지역사회의  주민들과  가까워질  수  있는  교육  활동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그  결과
                                                                                               67)
                  라크루  신부는  1902∼1903년  이전에  소규모의  여학당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결국
                  62)  위와  같음.
                  63)  「뮈텔문서」,  타케신부의  1904년  1월  4일자  서한.
                  64)  대정군은  교안의  진원지로서,  교안  이후  상당  기간  교민들에  대한  적대감이  해소되지  않아  교세  회
                     복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뮈텔문서」,  타케신부의  1902년  9월  4일자  서한  ;  콩트  랑뒤 1902
                     년도  보고).
                  65)  1903년까지  타케  신부는  교세  확장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뮈텔문서」,  타케신부의  1903년  3월
                     4일자  서한).  그러나  1904년부터  예비신자들이  늘어나고  개종의  움직임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고  파악하였다(「뮈텔문서」,  타케신부의  1904년  1월  4일자  서한).
                  66)  「뮈텔문서」,  타케신부의  1902년  9월  4일자  서한  ;  1903년  3월  4일자  서한.



                                                         -  23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